10. SCM-공급망관리/11. SCM Study

[WHEN]2-2-1. SCM과 Logistics란 말은 언제 등장하게 되었나?

학이시습지야 2015. 6. 24. 22:18
반응형

SCM의 역사적 첫 등장 - 1982년 6월 4일 파이낸셜 타임지 (Financial Times)

 

  "Supply Chain Management(SCM) is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supply chain with the purpose to satisfy customer requirements as efficiently as possible. SCM spans all movement and storage of raw materials, work-in-process inventory, and finished goods from point-to-origin to point-of-consumption"

  "공급사슬관리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공급사슬의 운영을 계획, 실행, 제어하는 프로세스이다. SCM은 원자재, 재공재고, 완제품이 원산지에서 소비지에 이르는 모든 운송 및 보관에 이르는 제반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컨설팅회사인 부즈앨런 해밀턴(Booz Allen Hamilton)사의 케이트 올리버(Keith Oliver)가 1982년 6월4일자 파이낸셜 타임즈와 의 인터뷰에서 내린 SCM에 대한 정의다. 

 

  하지만 SCM이란 용어는 올리버가 인터뷰에서 정의하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올리버가 1970년대 후반 필립스사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등장하였다. 프로젝트 이름을 통합재고관리(Integrated Inventory Management)를 의미하는 I2M 이라 붙였다. 클라이언트인 필립스 경영진인 반트호프(Vant'Hoff)와 올리버가 나눈 대화에서 SCM이라는 용어가 나오게 된다. 대화 내용은,

-Oliver : We are talking about the management of a chain of supply as though it were a single entity, not a group of disparate function

- Vant'Hoff : Then, why don't you call it that?

- Oliver : Call it What?

- Vant'Hoff : Total Supply Chain Management.

 

  어찌되었든, 올리버에 의해 SCM이라는 용어가 탄생하였고 , 그가 내린 정의도 기업 내부의 각 기능 간의 협력 프로세스 개념을 포함시킨 것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아이디어였다.

  하지만 Supply Chain 용어는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을까? 그 답은 1905년 더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신문 지면에 처음 등장한다. 아시아를 침략한 영국군의 활약을 기사에서 인도에서 병참 공급선(Supply Chain)을 흐트리지않아 공격에 성공하였다는 내용이다. 그 후 1912년에 글래스고 해럴드(Glasgow Herald)지는 발칸전쟁 특집기사를 다루면서 터키군과 불가리아군의 군수품 보급 역량을 비교하는 가운데 Supply Chain이라는 용어 등장하였다. 이처럼 비록 경영활동이 아닌 군수분야에서 '흐름'이라는 관점에서 Supply Chain이 군수물자의 보급과 분배를 통해 군의 작전을 전개하는데 일조하였다. 

 

SCM의 뿌리, Logistics라는 말은 언제 처음 등장하게 되었을까?

 

  Logistics의 사전적 의미는 병참, 즉, 군수물류를 의미한다. 어원은 라틴어로 계산이라는 의미인 Logisticus와 프랑스어로 숙영, 숙박을 의미하는 Logistikos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진다. 이 둘을 조합하여 보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계산을 기반으로 군대의 이동과 숙영을 의미하는 병참이 된다.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에 병참장교를 'Logistikas'라고 불리었다고 한다. 1838년 프랑스 군인 앙뚜아네-앙리 조미니(Antoine-Henri Jomini)가 전쟁의 기술(The art of War)에서 처음으로 Logistique가 등장하였고, 영어로 Logistics라는 용어가 1898년에 처음 등장한 것으로 연구자료에 나와 있다. 이러한 유래로 1860년대 병참 전문가들 사이에서 Logistics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이보다 이전인 1810년 윌리엄 뮐러(William Muller)가 전쟁 기술의 요소 (The Elements of the art of  War)에서

  "전투대형, 훈련, 작전 등을 다루는 전술 분야는, 시간과 공간을 고려하여 작전을 전개하기 위한 분석기법인 'Logistics'의 영역을 포함한다" 라는 내용이 나온다. 여기서 '시간과 공간을 고려한다'는 개념은 오늘날 많은 학자들이 물류의 가치를 논할 때 '시간과 장소의 효용성 향상' 개념과 그 궤를 같이한다. 200년전에 바라본 개념치고는 매우 놀라운 혜안이다.

 

우리는 어떻게 물류(物流)란 말을 쓰게 되었나?

 

  우리가 쓰는 물류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1956년 일본생산성본부 유통기술전문시찰단이 미국 파견보고서에서 유통기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1960년대 들어서면서 유통기술 대신 Physical Distribution 의 약자인 PD라는 용어를 쓰다가 1963년이후 비로소 'Physical'을 물리적/물적으로 번역하고, 'Distribution'을 유통으로 번역하여 '물적유통'이라는 용어로 점차 사용이 확대되었다. 이후 1970년대부터 물적유통을 줄여서 물류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 출처 : 민정웅저 '미친 SCM이 성공한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