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궁궐 건축의 진수가 담겨있는 종묘 신록이 녹음을 짙게 드리우는 어느날 종묘를 찾았다. 종묘하면 조선시대 임금님들의 신위를 모셔놓고 해마다 제례를 올리는 사당 쯤으로 생각해 그다지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당길 만한 매력을 품고 있지 않다고 여겨져 왔던 공간이다. 종묘 안을 거닐 때도 사람들과 부대끼기는 커녕 오.. 20. 문화유산 이야기/21. 궁궐이야기 2017.12.19
조선시대 왕은 하루를 어떻게 보냈을까? 조선시대 궁궐의 하루는 파루에서 시작해 인정으로 끝이 납니다. 경복궁타령에 첫구절이 이렇게 시작되죠. "남문을 열고 파루를 치니~~, 계명산천이 밝아온~다~. 에헤~~" 새벽 네시경, 오경삼점이면(해가 질 때부터 해가 뜰 때가를 5등분으로 나누어 경이라 하고 경을 다시 다섯등분하여 점.. 20. 문화유산 이야기/21. 궁궐이야기 2016.10.13
[북촌기행] 북촌 8경이 어디인가요? 1. 북촌이 어디인가요? 북촌은 청계천과 종로 윗동네를 이르는 지명입니다. 조선시대 가난하지만 고고한 선비가 살았던 남산골 즉, 남촌은 운종가가 즐비했던 종로 아랫동네인데 반해 북촌은 왕족이나 권세가 있던 사대부들이 모여 살았던 곳입니다. 근래에는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에 위.. 20. 문화유산 이야기/22. 서울순례길 2016.09.30
[남산한옥마을] 3. 한옥마을 안으로 들어가 봅니다!! 1. 옥인동 윤씨 가옥 (순정효황후 윤씨 친가) 순정효황후 윤씨는 조선의 마지막 임금인 순종의 계비로서 13살이 될 때까지 옥인동에 있는 큰아버지 윤덕영의 사가에서 살았다고 하는데요, 사실관계는 좀 더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버지 윤택영도 한성 도처에 대궐같은 집을 여러채 가지고 .. 20. 문화유산 이야기/22. 서울순례길 2016.09.28
[남산한옥마을] 2. 한옥이 어떻게 지어졌을까요? 한옥은 사람 만이 사는 공간이 아니고, 사람과 자연과 신이 함께 공존하는 공간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밖으로는 주변 지세와 어울려 있고, 이웃과 소통할 수 있는 담장을 가지며 내부 공간은 효과적으로 움직이는 동선과 확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소통과 조화가 적절히 배합되어 있.. 20. 문화유산 이야기/22. 서울순례길 2016.09.27
[남산한옥마을] 1. 남산 한옥마을에 가보세요... 1. 반골들이 둥지를 틀고 살았던 남산골 요즘 유커를 비롯한 외국인들을 물론 젊은이들이 사이에서 서울관광 코스 중 가장 Hot한 곳이 계동, 가회동, 원서동, 안국동 일대인 북촌입니다. 북촌은 경복궁과 창경궁 사이에 고풍스런 기와집이 빼곡히 들어선 전통마을이지요. 조선시대 이곳은 .. 20. 문화유산 이야기/22. 서울순례길 2016.09.26
[서울역사박물관] 3. 서울의 변천사 1. 개항과 함께 들이닥친 서구문물 1876년 조선과 일본사이에 맺어진 강화도 조약을 시발로 조선은 본격적으로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게 되지요. 신문물 도입을 둘러싼 내부 갈등이 있었으나 조정은 반대 세력을 누르면서 미국, 러시아, 양국, 독일 등 서구 열강들과 통상조약을 맺고 문호.. 20. 문화유산 이야기/22. 서울순례길 2016.09.26
[서울역사박물관] 2. 조선시대 한성 탐방 1. 광화문 앞에는 행정중심인 육조거리가 있다. 궁궐은 왕과 왕실이 생활하는 절대공간인 반면, 경복궁의 남문인 광화문 앞에는 관료들이 실무를 보는 관청들이 들어서 있습니다. 이를 육조거리라고 하면 이들 관젗을 궐외각사라고도 불렀지요.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에 타 왕실.. 20. 문화유산 이야기/22. 서울순례길 2016.09.25
[서울역사박물관] 1. 위례 ->남경 -> 한양 -> 한성 -> 서울로 이어진 역사의 발자취 1. 서울의 역사 1392년 7월 17일 태조 이성계는 역성혁명을 통해 조선을 세웠지요. 개성 수창궁에서 즉위한 지 한 달도 되지않아 천도를 결심합니다. 남경에 남아있던 옛 궁을 수리하여 천도하려는 계획이 신하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던 차에 태실의 길지를 찾으러 갔던 권중화.. 20. 문화유산 이야기/22. 서울순례길 2016.09.23
[고궁박물관] 4. 지하층에서 자격루 시보를 들어보실래요? 1. (천문과학 2실) : 어느 시대건 지도자는 민생 안정과 부국강병을 위해 과학기술 연구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역대 왕들은 민생의 안정과 부국강병을 위해 과학 기술 연구에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여러 뛰어난 학자들이 배출되어 농업·천문·의학·인쇄·무기 제조 등의 .. 20. 문화유산 이야기/21. 궁궐이야기 201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