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미래형 SCM 전략] 미래의 공급망 관리 2 - 글로벌 공급망 통합자 01 실시간 SCM 발전단계 공급망관리(SCM)을 공급망 기획(SCPlanning)와 공급망 운영(SCOperation)로 나누어 발전단계를 구분하여 보면, 기획과 운영 모두 첫 단계는 가시성 확보와 표준화이다. 이어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운영의 최적화단계를 거치게 된다. 세번째로 신속한 반응체계를 통해 대륙별.. 10. SCM-공급망관리/11. SCM Study 2015.10.05
3-4. [미래형 SCM 전략] 네트워크 최적화 전략 01 글로벌 생산기지 전략 국제화 시대에 걸맞는 생산기지 전략은 처음에는 '원가절감 중심의 해외 생산 거점'으로 진출하였다가, '고객 대응 중심의 생산기지 거점으로' 바뀌었다. 최근에는 전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보는 '글로벌 네트워크 경영'에 중점으로 두고 해외 생산 거점을 확보.. 10. SCM-공급망관리/11. SCM Study 2015.08.31
3-3. [미래형 SCM 전략] 바람직한 공급망 관리 체제 01 이상적인 공급망 이상적인 공급망 전략은 회사의 사업전략과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나아가 공급망은 수요 공급 변동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하고,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경쟁에 앞서가는 기업들은 민첩하고(Agile), 적응력이 뛰어나고(Adaptable), 일치된(Aligned) 공급망을.. 10. SCM-공급망관리/11. SCM Study 2015.08.25
3-2. [미래형 SCM 전략] 공급망 관리 이론의 발전 단계 01 공급망 관리 이론의 발전 요인 SCM 이론의 발전단계 : 물류 (Physical Distribution) -> 로지스틱 관리(Logistics Mgmt) -> 공급망 관리(SCM) -> 글로벌 공급망 생태계 육성 (Ecological SCM) 발전요인은 IT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개개인의 모바일기기로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 검색 분석이 가능해.. 10. SCM-공급망관리/11. SCM Study 2015.08.12
3-1. [미래형 SCM 전략] 기업의 공급망관리 환경 01. 글로벌 공급망 관리 필요성 1960~70년대 공급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던 생산 중심시대에서, 1980~90년대 기술 및 생산방식의 혁신으로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면서 마케팅 중심시대로 바뀌었다. 2000년대 들어오자 새로운 변화가 빠르게 비즈니스 환경을 바꾸어놓았다. 스탠포드대학의 .. 10. SCM-공급망관리/11. SCM Study 2015.08.11
3-0. 시장을 창조하는 미래형 SCM 전략 - 박재규 저 SCM 공부를 위해 잡은 두 번째 과목은 박재규가 저술한 '시장을 창조하는 미래형 SCM전략'이다. 저자는 MIT에서 SCM 과목으로 MBA와 박사과정을 마쳤고, LG 홈쇼핑, 정보통신부 우편사업단장 그리고 LG전자에서 글로벌 SCM을 구축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책을 저술하였다. 책의 마지막은 LG전자의 .. 10. SCM-공급망관리/11. SCM Study 2015.08.10